한국애견협회를 시작페이지로
한국애견협회
KKC 서비스
반려견스타일리스트
반려견아카데미
KKC 행사
KKC 뉴스
KKC 매거진
협력기관
KKC 매거진

KKC 매거진

애견문화를 선도하는 한국애견협회 02-2265-3349 혈통서, 도그쇼, 훈련대회, 애견전문인 자격증, 반려동물 행사와 대국민 봉사활동
견종표준
홈 > KKC 매거진 > 견종표준
성견 자견
실키테리어 (Silky Terrier)
원산지 오스트레일리아
체고 21~23cm
체중 3~4.5kg
운동량 ☆☆☆☆☆
그룹 토이
견종소개
AKC공식표준견

오스트레일리아 원종 테리어. 오스트레일리안 테리어와 실키 테리어는 오스트레일리아인들이 영국의 다양한 테리어 견종들을 사용한 결과 19세기에 만들어 진 것이다. 1860년대 초에 푸른색과 황갈색의 털을 갖고 있는 10파운드 가량의 이 테리어들은 태스매니아(Tasmania:오스트레일리아 남동의 섬, 오스트레일리아 연방의 주) 주변에서 경비견으로 유명했다. 그 지역의 다른 테리어들은 모래빛이었다.

1820년대에 때때로 몸집이 작은 푸른색/황갈색 암컷 중의 하나가 영국에서 들여져왔으며, 이는 댄디 딘몬트와 교배된 것이다. 그 결과, 자손은 결국 다시 오스트레일리아로 돌아와서 실키테리어의 기본이 되었다. 댄디는 더 부드러운 털고 아치형의 긴 등 그리고 현대의 종에서도 볼 수 있는 높이 위치한 꼬리들을 물려주었다. 그러나 실키의 털 모두가 댄디에게서 물려 받게 된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오시(Aussie : 오스트레일리아산 테리어)를 만들어 내는데 사용되었던 스카이(Skye)들이 때때로 실키의 털과 다른 털을 만들어 내기 때문이다. 실키는 요크셔테리어(Yorkshire Terrier)와 역교배시킴으로써 작은 체구와 푸른빛을 갖게 되었다.

맥아서 리틀(MacArthur Little)은 '실키'의 브리더로 유명했는데 그가 시드니로부터 그의 개사육장으로 이 실키를 들여왔기 때문에 시드니 실키 테리어(Sydney Silky Terrier)라는 이름이 붙었따. "실키(Silky)"라는 이름이 1955년까지 공식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았기 때문에 시드니 실키라는 이름이 여전히 사용되었다. "실키"는 뉴 사우스웨일즈(New South Wales)에서 1906년 받아들여졌고, 다른 이름은 빅토리아(Victoria)에서 인정되었다. 1959년이 되어서야 비로소 이러한 엇갈림들이 완만히 해결되어 다른 이름들이 인정된 후 곧 실키로 AKC에 의해 공인되었다. 비록 실키 테리어가 미국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되었어도 그의 모국인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안 실키 테리어'라 불리우고, 캐나다에서는 '실키토이테리어'라 불린다.

실키는 애완견과 집개로써 사육되었고, 털이 좋은 상태를 유지하려면 규칙적으로 빗질을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실키의 털은 짧은 것과 긴 것도 있어서 요크셔테리어의 털처럼 바닥까지 폭포처럼 길 게 늘어뜨려지지는 않는다. 몸털은 발과 발목뼈만 남겨두고 무릎까지 덮는다. 요즈음의 개들은 모두 쫑긋 솟은 귀를 가지고 있다. 이는 스카이로부터 유전된 것으로 보여진다. 사촌인 오스트레일리안테리어처럼 실키는 꼬리가 짧게 잘려져 있다. 비록 오시(Aussie)는 AKC에 의해 테리어와 구분되었지만, 실키는 토이 그룹(Toy group : 소형 애완견종 그룹)에 속한다. 자그마한 체구에도 불구하고 그는 쥐, 토끼, 뱀 등을 잡아 죽일 수 있고 침입자가 나타나면 날카롭게 짖어서 알린다.

작지만 활발하고 용감한 이 개는 경비견으로서도 훌륭하나 무척이나 시끄러운 면이 있어 조용한 것을 좋아하는 사람에게는 어울리지 않는다. 고집이 강해 훈련 적응력이 낮고 다른 개와 어울리지 못한다.

- Copyrights ⓒ 한국애견협회 저작권보호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인쇄하기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