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애견협회를 시작페이지로
한국애견협회
KKC 서비스
반려견스타일리스트
반려견아카데미
KKC 행사
KKC 뉴스
KKC 매거진
협력기관
KKC 매거진

KKC 매거진

애견문화를 선도하는 한국애견협회 02-2265-3349 혈통서, 도그쇼, 훈련대회, 애견전문인 자격증, 반려동물 행사와 대국민 봉사활동
견종표준
홈 > KKC 매거진 > 견종표준
성견 자견
요크셔테리어 (Yorkshire Terrier)
원산지 영국
체고 21~23cm
체중 3~3.5kg
운동량 ☆☆☆☆☆
그룹 토이
견종소개
AKC공식표준견

요크셔는 최초의 요키로 기록되는 허더스펠드 벤과 함께 1850년경 처음으로 에어데일과 같은 지역으로부터 왔다. 그의 배경이 정확하게 기록되어 있지는 않지만, 추측에 의하면 올드 잉글리쉬 블랙/탄테리어가 일반적인 테리어의 윤곽과 정신적인 특성을 형성한다고 한다. 몰타인들의 테리어는 길고 부드러운 털을 가지고 있는 테리어의 성향을 굳히게 하였다. 그러나 각각의 견종사육자들은 서로 다른 혼종의 계보를 사용하였다. 작고 부드러운 털을 가진 이 테리어는 요오크셔의 부유한 계급들의 수요가 많았다. 가난한 농부들과 노동자들은 그리하여 이 요구를 채워주기 위한 강아지 생산에 의해 수지가 맞는 부업을 시작하게 되었고, 이 일의 경쟁은 서로간에 강아지 생산의 비결을 비밀로 하게 되었다. 그들은 원래 브록큰헤어드스콧치 또는 요오크셔 테리어라고 불렀지만, 그들의 털은 다른 브록큰헤어드테리어와 닮지 않았다. 1870년경 이 종은 요오크셔 테리어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 개는 영국에서와 마찬가지로 작은 요정같은 이 견을 사랑하는 미국인들에 의해 미동부지역에서 증진되어졌다.

오늘날의 소형개의 크기는 원래 12-14파운드 되는 변종의 더 작은 표본을 선택함으로써 그 형이 정해졌다. 선별적인 견종이 생겨남에 따라 크기는 3-13파운드에 이르기까지 다양화되었다. 털 또한 부드러움은 그때까지도 유지되었지만, 길이는 훨씬 짧아졌다. 테리어의 옹호자들은 드래서 드라우어 도그(dresser drawer dog)의 지위를 낮추었고, 그들의 미래를 불투명하게 내다보았다. 그러나 이것이 얼마나 잘못된 것이었던가. 20세기에 들어와서 그는 전세계에 걸쳐 찬사의 대상이 되었다. 요키들은 씩씩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데 그것은 윌리암 와인2세의 전리품은 스모키에 의해 적절하게 증명되었다. 미국인인 윌리암 와인은 뉴우기니에 있는 일본참호 가까이의 포탄 구멍에서 요키를 발견하였다. 어느 누구도 스모키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하는 사람도 없었고, 스모키 또한 일본어도 영어도 이해하지 못하는 것처럼 보였다. 스모키는 전쟁의 남은 기간동안 등짐을 지고 와인과 동행하며 다녔는데 그동안 150번의 공습과 12번의 항공해상 구난 작업임무를 겪었다. 그 개는 오키나와에서의 태풍까지도 견뎌내어 살아 남았다. 이러한 공적을 이루는 사이에 군인을 재미있게 해주는 재주를 터득하게 되었고, 폭이 8인치에 70피트 되는 전신선을 운반함으로써 신호부대를 도왔다. 용감한 개 스모키는 또한 30피트 상공에서 뛰어내리기도 하였는데 특별히 만든 낙하산을 이용하였다. 전쟁후 스모키와 와인은 재향군인병원에서 굉장한 인기를 모았다. 몇 년이 흐른후 파라가 닉슨대통령 가족과 함께 백악관에 나타났을 때 새로운 요키의 정치 생활이 시작되었다.

그들의 다루기 쉬운 성격과 알콜음료병만한 크기는 그들을 이상적인 여행의 동반자로 만들었다. 가장 작은 소형개이기 때문에 그들은 어린아이들이 가지기에는 적합하지가 않다. 1985년의 세계 기네스북에 따르면 기록되어 있는 가장 작은 개는 실비아란 요키견으로 무게가 10온스이다.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전형적인 테리어의 성질을 가지고 있고 활기에 넘치고 자신감에 차있다. 자신의 주인에게 애정을 다하고 헌신적인 이들은 위험이 닥쳤을 때 주저하지 않고 크게 경보소리로 짖어댄다.

검은색/황갈색이 섞여있거나 순흑색으로 태어났더라도 점차 크면서 강철색으로 변하게 되고, 짙은 황갈색 점박이로 인해 더 아름답게 변한다.
요크셔테리어는 화려한 장모종의 털이 특징적이지만 하루에 한번 빗질로 번거롭지 않게 아름답고 윤기있는 모질을 유지할 수 있다. 청각이 발달해 있어 잘 짖으며 겁이 없는 편이므로 번견 성능이 높아 사랑받는 견종이다.

쥐잡이 개로 활약했던 만큼 활발한 성격에 생기가 넘친다. 응석을 잘 부리므로 주인이 응석을 받아주지 않으면 심술맞은 장난을 한다. 또한 자립심과 기질이 강하다.

- Copyrights ⓒ 한국애견협회 저작권보호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인쇄하기 목록